공지사항

The Best Partner of Your Happy Life

[뉴스] 낙후 껍데기벗기 '때이른 진통' 2006.04.14

작성자관리자 조회수1332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apart60414.jpg
[경인일보 06.04.14]

[뉴타운 부활 꿈꾸는 구도심권]

1. 프롤로그

 구도심권과 신도심권으로 분류됐던 경기도내 50만이상 시지역이 뉴타운으로 재탄생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해 인구수 50만명이상 자치단체들은 오는 6월까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을 마련토록 하고 있어 수원·성남·용인·부천·고양·안산·안양시 등 7개시에서 적게는 17개 지구, 많게는 55개 지구에 이르기까지 정비예정지구를 고시했다.

 이밖에 광명시와 의정부·의왕·하남시 등 4개 시도 자체적으로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마련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인일보는 이들 11개지역의 정비계획안을 점검하고 추진실태와 현황을 면밀히 파악, 해당 주민들에게 이해관계를 높임은 물론 올바른 계획도시를 유도하기 위해 시리즈를 시작한다.

 (1) 총괄

 수원·성남·용인·부천·고양·안산·안양시 등 7개 시는 대부분 구도심권과 신도심권을 가지고 있으며 양분된 도시형태를 이뤄 도시의 개발과 통합을 현안문제로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구도심권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재건축이 이뤄지고 있으나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한 채 저층에서 고층으로의 재건축이 대부분이었다. 그동안 자치단체들은 구도심권의 개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국고와 도비 보조를 받는 사업이라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정비기본계획 마련으로 오는 2010년까지 1·2단계로 나눠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어 새로운 도시로 탈바꿈할 계기가 마련됐다.

 이번에 수원시에서 발표한 정비예정지구는 모두 26개지구에 달하고 있으며 면적만도 237만9천여㎡로 대부분 주택재개발사업으로 추진된다. 또 신·구도시가 명확히 구분돼 있는 성남시도 모두 26개 지구에 293만9천㎡의 정비예정구역을 고시했으며 고양시는 33개지구에 90만7천500㎡를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부천시는 자치단체중 55개 정비예정지구를 고시, 재재발예정지가 가장 많으며 전체 면적만도 393만3천여㎡에 달한다.
 계획도시인 안산시는 38개 예정지구에 전체 면적이 50만7천400㎡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 대부분이 재건축 예정지구이다.

 용인시는 17개 예정지구에 면적이 57만8천㎡로 주택재건축과 재개발사업으로 이뤄질 계획이며 안양시는 모두 27개 예정지구에 187만8천500㎡의 부지로 재건축과 재개발, 주거환경개선지구, 도시환경정비지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해당 시의 정비예정지구 고시에 이어 경기도의 승인을 얻어 정비지구가 고시되면 주민들은 조합설립 추진위원회를 구성, 조합을 결성하고 사업시행계획서를 작성해 인가를 받은 후에나 시공업체를 선정,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현재 각 해당 시에서는 예정지구가 발표되기 전부터 정비사업자들이 주민들과 함께 추진위 구성을 위한 동의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일부 현장에서는 사업권 확보를 위해 2~3개 정비사업자들이 과당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때문에 해당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정비사업자들의 과당경쟁에 편승해 편이 갈라지고 주민들간 음해는 물론 폭력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또 수도권지역에서 아파트 건설 등의 부지 확보가 어렵게 되자 국내 굴지의 건설사들은 예정지구 현장 등을 돌아다니며 영업을 하기에 바쁘고 건축사들과 지구단위 용역업체들도 해당 지구를 대상으로 사업권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예정지구 현장마다 가칭 추진위원회 사무실을 개소하고 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주민 동의서 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해당 시에서는 지구지정이 완료된 이후 추진위원회 신청 서류를 접수받을 계획에 있어 정비사업자들의 출혈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지방종합

친환경적인 도시 · 교통 · 문화예술 공간을 창출하는 Trans Vil L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