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The Best Partner of Your Happy Life

[뉴스] 수원역세권 '분산개발' 된다 2006.04.14

작성자관리자 조회수1648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경인일보 06.04.14]

수년동안 각종 개발행위를 전면 금지해온 수원역 역세권일대 도시개발사업계획이 백지화된 가운데(경인일보 1월 4일자 19면 보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나뉘어 분산개발될 전망이다.
수원시는 13일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평동일대 역세권개발예정지구 140만㎡를 4개 권역으로 나눠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입안계획에 대한 공람공고 절차를 마쳤다.

4개 권역은 (주)KCC가 위치한 준공업지역 일대 27만3천600㎡ 지구와 SK공장부지가 위치한 준공업지역 19만7천700㎡ 지구, 마을이 형성돼 있는 일반주거지역이 12만5천700㎡ 지구, 수원비행장 주변 일대 자연녹지지역 55만5천600㎡ 지구 등이다.
당초 시는 지난 2004년 3월 낙후된 수원역 주변 일대를 재정비하기위해 이 지역을 역세권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고 오는 2007년 3월까지 각종 개발행위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

시는 또 지난 2월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을 추진하다 사업재원이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는 등의 한계에 부딪히자 역세권 개발예정지구내 대규모 토지 소유주인 SK와 KCC측에 공동사업시행을 제안했다. SK측은 그러나 “고도제한 및 항공기 소음으로 인해 사업여건이 불리한 지역으로 도시개발 공동참여가 어렵다”며 시의 제안을 거절했다. KCC측도 “역세권 개발에 대한 토지이용계획 등을 검토했으나 고도제한과 사업기간 장기화 및 공장이전 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도시개발사업의 공동참여가 어렵다”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더이상 도시개발사업방식으로 추진이 어렵다는 판단과 함께 토지소유자들의 사유 재산권행사를 막는 개발행위제한을 지속할 명분이 없다고 보고 지구단위구역지정을 통한 민간개발을 유도키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이로써 역세권 일대 개발계획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시의 이같은 결정에 대해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다.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준공업지역인 SK와 KCC부지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이 불가피해 이들 사기업들의 자산가치만 높여주는 혜택을 주기 때문.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수원역은 수원의 대표적인 상징시설물인데도 주변 지역이 열악해 어떤 형태로든 도심재개발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4개 권역이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8개월이내 민간개발신청이 없을 경우 시가 직접 수용하는 방식의 공영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김성규·seongkyu@kyeongin.com

친환경적인 도시 · 교통 · 문화예술 공간을 창출하는 Trans Vil Leader